CEBQ(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는 아동의 다양한 섭식행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질문지로, 부모 또는 주 양육자가 아동의 식습관을 보고하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 대상 연령: 약 1.5세 ~ 12세 아동
✔ 개발자: Jane Wardle 등 (2001, 영국 UCL)
✔ 문항 수: 총 35문항, 8개 하위척도
✔ 개발자: Jane Wardle 등 (2001, 영국 UCL)
✔ 문항 수: 총 35문항, 8개 하위척도
1. CEBQ의 8가지 하위척도
① 섭취 촉진 요인 (Food Approach Traits)
하위척도 | 설명 | 예시 문항 |
---|---|---|
Food Responsiveness (FR) | 음식 자극에 반응해 쉽게 먹고 싶어함 | “아이가 음식을 보면 먹고 싶어해요” |
Enjoyment of Food (EF) | 먹는 것을 즐기고 식사를 좋아함 | “아이는 식사 시간이 즐거워요” |
Emotional Overeating (EOE) | 스트레스나 감정으로 인해 과식 | “아이는 속상하면 많이 먹어요” |
Desire to Drink (DD) | 단 음료나 음료수에 대한 지속적 욕구 | “아이는 계속 마시고 싶어해요” |
② 섭취 억제 요인 (Food Avoidance Traits)
하위척도 | 설명 | 예시 문항 |
---|---|---|
Satiety Responsiveness (SR) | 배가 부르면 스스로 식사를 멈춤 | “아이는 배가 부르면 더 이상 먹지 않아요” |
Slowness in Eating (SE) | 식사 속도가 느림 | “아이는 식사 시간이 길어요” |
Emotional Undereating (EUE) | 감정적 스트레스로 인해 식욕 감소 | “아이는 속상하면 먹지 않으려 해요” |
Food Fussiness (FF) | 편식, 새로운 음식 거부 | “아이는 새로운 음식을 잘 먹지 않아요” |
2. 평가 방법 및 해석
- 응답자: 부모 또는 주 양육자
- 척도: Likert 5점 척도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 점수 해석:
- 섭취 촉진 점수가 높을수록 과식 경향 & 비만 위험 ↑
- 섭취 억제 점수가 높을수록 식욕 저하 & 성장 저해 가능성 ↑
3. 활용 분야
- 아동 비만 예방 및 개입 연구
- 식습관 상담 및 행동중재 자료
- 양육자 교육 및 영양교육 자료
4. 참고문헌
- Wardle, J. et al. (2001).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7), 963–970.
- 김혜숙 외 (2012). 한국어판 CEBQ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지.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