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변량(Covariate) vs 잠재적 혼란 변수(Potential Confounder)


공변량 vs 잠재적 혼란 변수

1. 기본 개념 비교

항목 공변량 (Covariate) 잠재적 혼란 변수 (Potential Confounder)
정의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독립 변수 (보조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에 영향을 주어 관계를 왜곡할 수 있는 변수
목적 모델 설명력 향상, 정확도 증가 인과 관계의 편향 제거
필요 조건 종속변수와 관련 있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둘 다와 관련 있음
예시 체중, 나이, 성별 등 (혈압 예측 시) 기온 (아이스크림 판매량과 익사 사고 분석 시)


2. 시각적 구조 비교

공변량:

Covariate ──► 종속변수(Y)
    

잠재적 혼란 변수:

      ┌────► 종속변수(Y)
Confounder
      └────► 독립변수(X)
    

→ 잠재적 혼란 변수는 X와 Y 사이의 관계를 왜곡할 수 있습니다.



3. 비유로 이해하기

공변량: 설명에 도움을 주는 보조 변수

  • 예: 시험 점수 예측에서 수면 시간, 식사 시간 등

혼란 변수: 착시를 일으키는 변수

  • 예: 아이스크림 판매량과 익사 사고 사이의 관계에서 '기온'이 혼란 변수


4. 분석에서의 적용 차이

분석 상황 공변량 혼란 변수
회귀 분석 포함 시 설명력 향상 포함 시 인과 추정의 왜곡 제거
무작위 실험 통계적 보정 가능 무작위화로 통제 가능
관찰 연구 포함해도 무관 반드시 조정 필요


5. 핵심 결론

  • 모든 혼란 변수는 공변량이다.
  • 하지만 모든 공변량이 혼란 변수는 아니다.
  • 혼란 변수는 인과 해석에서 반드시 통제해야 한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