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념 정의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은 개입 전후의 측정을 통해 개입 효과를 분석하는 설계로, 무작위 할당이 없는 유사 실험(quasi-experimental)입니다.
2. 기본 구조
이 설계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됩니다:
- 실험군: 사전검사 → 개입 적용 → 사후검사
- 대조군: 사전검사 → 개입 없음 → 사후검사
3. 예시
교육 분야: 수학 보충 수업 전후의 성적 비교
보건 분야: 금연 프로그램 전후의 흡연 빈도 비교
4. 장점
- 현실적이고 적용이 쉬움
- 비용과 시간이 절감됨
- 전후 변화 관찰 가능
- 윤리적 부담이 적음
5. 단점
- 무작위 할당이 없어 편향 발생 가능
- 외부 변수 통제 어려움
- 회귀 효과 존재
- 일반화 제한
6. 내적 타당도 위협 요인
- 선정 편향: 실험군과 대조군이 처음부터 다를 수 있음
- 역사 효과: 외부 사건이 영향을 줄 수 있음
- 성숙 효과: 시간에 따른 자연 변화
- 측정 효과: 사전검사가 사후검사에 영향
- 도구 변화: 평가 도구가 달라질 경우
- 회귀 효과: 극단값이 자연스럽게 평균으로 회귀
7. 변형 설계 종류
설계 | 설명 |
---|---|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 | 유사한 대조군을 설정하여 비교 |
한 집단 사전-사후 설계 | 실험군만 추적, 대조군 없음 |
시계열 설계 | 다수의 측정으로 추세 분석 |
8. 통계 분석 방법
- Paired t-test: 같은 집단의 전후 비교
- ANCOVA: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
- Difference-in-Differences (DID): 실험군과 대조군의 변화 비교
9. 활용 상황
- 무작위 배정이 어려운 현실 상황
- 윤리적 이유로 통제군 설정이 불가할 때
- 파일럿 연구로 탐색적 검토 시
10. 결론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은 현실적 제약 속에서 개입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대안입니다. 그러나 내적 타당도의 위협 요인에 대한 통제와 해석의 신중함이 매우 중요합니다.
11. RCT와의 비교
항목 | RCT (무작위 대조 실험) | Pretest-Posttest 유사 실험 |
---|---|---|
무작위 배정 | O (있음) | X (없음) |
내적 타당도 | 매우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음 (편향 우려) |
외적 타당도 | 중간~낮음 (실험 환경) | 현장 기반으로 높을 수 있음 |
윤리적 고려 | 위약군 문제 등 고려 필요 | 상대적으로 부담 적음 |
현실 적용성 | 제약 있음 | 높음 (현장 기반 연구에 적합) |
분석 복잡성 | 표준화된 분석 방식 다수 | 편향 통제를 위한 고급 분석 필요 |
0 댓글